반응형
이번에는 HA를 어디에서나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메인을 만들고 이를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.
1-1. DuckDNS 계정 생성 및 서브도메인 발급
- https://www.duckdns.org/ 접속 → GitHub/Google 계정으로 로그인.
- 새로운 서브도메인(예: my-home.duckdns.org)을 등록합니다.
1-2. Home Assistant에 DuckDNS 애드온 설치
- HA의 사이드바 → Settings(설정) → Add-ons → Add-on Store
- “Duck DNS” 애드온을 검색 및 설치
- Duck DNS 애드온을 실행한 후 Configuration 탭에서 다음 정보를 입력
lets_encrypt:
accept_terms: true # 필수: true로 설정
certfile: fullchain.pem
keyfile: privkey.pem
token: "duckdns에서 발급받은 토큰"
domains:
- my-home.duckdns.org # 등록한 도메인
aliases: []
seconds: 300
또는 configration에서 각각의 위치에 token값과
domain값을 각각 넣어주면 됩니다.
- Start 버튼을 눌러 애드온 실행
- 로그를 확인하여 “OK” 메시지와 함께 인증서 발급이 정상 완료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1-3. Home Assistant 설정파일(configuration.yaml)에서 http 설정
http:
ssl_certificate: /ssl/fullchain.pem
ssl_key: /ssl/privkey.pem
- 위 설정을 추가한 뒤 Home Assistant를 재시작합니다.
- 재시작 후, https://my-home.duckdns.org:8123 주소로 접속해서 홈어시스턴트가 열리는지 확인합니다. (브라우저에서 보안 경고 없이 접속 가능해야 합니다.)
아래 해당 내용을 추가한후 재시작을하면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럼 다음 시간에는 Google Home에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!!
반응형